며칠동안 엄청 추웠었는데 날씨가 풀린다고 하더군요 근데 겨울은 겨울인가 봅니다. 여전히 춥네요.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여름보다는 겨울이 나은거 같아요. 뱃살을 가릴 수가 있거든요 ㅠㅠ 올해는 다이어트를 좀 해야 하긴 하겠습니다. 작년에도 여름에만 잠깐 살을 빼긴 했었는데 말이죠.
어쨋든 오늘도 새로운 정보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저희 회사에서는 매달 청구서를 만들때 한글로 만들고 그곳에 부가세 를 입력을 하여 월마다 정산을 하는 시스템 입니다. 그래서 한글 계산식 을 활용하여 부가세 계산기 를 만들어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해요.
일단 위와 같이 표를 만들어야 한글 계산식 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표가 없다면 만드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못만듭니다 ㅠㅠ 어쨋든 위와 같이 상호면 공급가액, 부가세액 그리고 총액으로 만들어 두었습니다.
그리고 공급가액을 198,000원으로 숫자만 미리 입력을 해두었는데요. 해당 부분은 나중에 입력을 해도 됩니다. 우선적으로 부가세액과 총액 부분의 계산식을 입력을 하여 한글에서 부가세 계산기 를 만들 수가 있으실 거예요.
부가세액이 들어갈 부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게 되면 위와 같이 메뉴 들이 나오게 되는데 단축키는 CTRL + N 을 누른 후에 F 를 누르게 되면 계산식 (함수식) 이 나오게 됩니다.
단축키는 그렇고 마우스 우클릭을 한 상태에서 위와 같이 아래쪽ㄷ에 나오는 메뉴를 선택을 하시면 되실 겁니다.
그럼 위와 같이 계산식 이라는 부분이 나오게 되는데요. 두번째 항목에 함수(F): 라고 되어 있는 곳이 있을 겁니다. 이곳을 클릭을 하셔서 PRODUCT(,.) 라고 되어 있는 곳을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엑셀을 이용하시게 되면 좌표(?)를 계산 하시기 쉬우실 텐데요. 상호명 이 있는 줄이 A 라인 입니다. 그리고 희망상사가 있는 곳이 B 라고 보시게 되면 공급가액 숫자 부분이 있는 곳이 B2 입니다. 그리고 부가세액 부분은 B3 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일단 한글 계산식 으로 부가세 계산기 를 만들때 PRODUCT 함수를 이용하게 되는데 사용방법은 이전 사진에도 나와 있지만 =PRODUCT(공급가액 위치, 0.1) 이라고 입력을 하시면 됩니다.
공급가액이 있는 곳이 B2 입니다. 엑셀을 이용하시면 금방 아실 수 있는 부분인데요. 그리고 뒤에 있는 0.1 은 10%가 부가세 이기 때문에 소수 0.1 을 입력을 합니다. 만약 임의의 수로 0.5 를 입력하게 되면 50%가 되는 것이 되겠죠.
그리고 가장 우측에 있는 총액 부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쉬운 계산식 으로 가로 합계를 선택을 하시게 되면 됩니다. 블록 계산식을 활용하실 수도 있으신데요.
기본적으로 공급가액 + 부가세액 을 할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블럭을 한 상태에서 블록 계산식을 활용하시게 되면 총액 합계를 이용하실 수가 있게 되시는 것이겠죠.
기본적으로 금액을 입력을 할때 1,000단위 구분 쉼표를 입력을 하게 되는게 보통인데요. 숫자가 들어가는 곳을 역시 블럭 설정을 하시고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게 되면 제일 아래쪽에 1000단위 구분 쉼표가 있을 거예요 이곳에 마우스를 올리게 되면 우측에는 자릿점 넣기 라는 부분이 보이게 될겁니다. 이곳을 클릭을 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부가세 계산기 만들기 를 완료 할 수가 있습니다. 한글의 특정 버전이상에서 한글 계산식 을 통해 사용이 가능한거 같은데요.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버전은 2014VP 버전 입니다.
다른 버전에서도 아마 될거라고 생각이 들긴 하지만 안될 수도 있으니 이용에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업무나 개인적인 사용에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은 이만 물러 가도록 하겠습니다~ 참 거래처가 많다면 엑셀 처럼 일괄 계산이 안되기 때문에 각각 따로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