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도 이제 단 3일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올해 열심히 공부하고 자격증을 취득해서 회사에 입사를 하고 열심히 근무를 하고 계신분이 있을텐데요. 때로는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으로 입사를 하여 2016년 12월 31일 까지 근로계약을 맺으신 분들은 자의든 타의든 근로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퇴직금을 받고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쉬는 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어쨋든 1년 이상 근무를 하셨다면 퇴직금을 받게 된느 것은 당연한데요. 퇴직금에도 급여 처럼 세금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이때 퇴직소득세 계산기 를 이용을 하여 얼마의 세금을 내게 되는지 확인을 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계신 포털 사이트에서 국세청이라고 검색을 하시게 되면 사이트가 나오게 됩니다. 이곳으로 접속을 하시게 되면 위와 같은 사이트로 나오게 되는 것을 확인 하실 수가 있으실 거예요.
그리고 국세정보 > 국세청프로그램 으로 들어가시게 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게 될겁니다. 사실 퇴직소득세 계산기 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 이라기 보다 회사에서 퇴직금을 지급할때 이용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 여러분들도 참고 삼아 보시면 되실거 같아요.
일단 국세청프로그램 으로 이동을 하시게 되면 위와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퇴직소득이라고 입력을 하시고 엔터키를 입력하시면 2016년 귀속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 이라는 것이 보이게 되실 거예요.
만약 2017년도 쯤에 보시게 되면 최신 파일이 등록이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시고 제일 마지막으로 등록되어 있는 게시글을 클릭하시셔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단 퇴직소득세 계산기 프로그램을 다운 받기 위해 마지막 게시글을 클릭을 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화면을 아래로 조금 내려가게 되면 위 그림 처럼 관련자료 다운로드 부분에 파일이 첨부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은 zip 형태로 등록이 되어 있는데 등록하시는 분들 마음대로 그냥 엑셀 파일로도 등록이 되는 경우도 있는거 같아요. 다운 받으시고 압축 해제를 하신후 실행을 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이 엑셀 파일이 열리게 됩니다.
2016년 귀속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만 정확히는 엑셀 로 만들어진 프로그램 인데요. 퇴직소득세 계산기 로써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가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얼마의 퇴직금을 받는지 궁금하실 때에는 인터넷에 흔히 있는 퇴직금 계산기 라고 검색하면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 이런식으로 국세청 사이트에서 퇴직소득에 관련된 세액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정도를 알려드리도록 하며 사용방법은 해당 파일 내게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이용에 도움이 되셨으면 하고 오늘도 행복하고 즐거운 들이 되셨길 바랍니다. 위 내용은 접속하는 날짜에 따라 보여지는 결과물이 다르기 때문에 내용과 다르다고 놀라지는 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