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특정한 물건을 구매를 하거나 서비스를 제공 받을때 10%의 세금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이부분은 일정 금액을 지불할때 포함이 되거나 혹은 별도로 청구가 될 수가 있게 되는데요. 정식 명칭은 부가가치세 입니다. 요즘들어 편의상 줄여서 이용을 하고 있게 됩니다.
물론 모든 것에 부가세가 발생을 하는건 아닙니다만 어쨋든 오늘은 정의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하는건 아니구요. 네이버 부가세 계산기 를 사용을 했었지만 직접 간편하게 계산을 할 수가 있어서 그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계산기를 활용 하실 수도 있어요.
요즘 스마트폰은 다들 있으시니까 어플을 설치를 하셔서 이용을 하셔도 됩니다. 물론 위 그림은 안드로이드 전용 구글 플레이 에서 다운 받고 있는 모습인데요. 네이버 부가세 계산기 대용 으로 충분히 사용할만 합니다.
그리고 해당 어플에서는 1원 단위를 공급가액에다가 붙이든지 혹은 부가세 부분에다가 1원을 맞추어서 포함 금액을 맏들든지 하는등 선택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일단 아래 부터는 기본 계산기로 부가세를 때려 맞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윈도우7 의 경우 보조 프로그램 에서 쉽게 계산기를 열어볼 수 있겠지만 윈도우10 에서는 못 찾을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키보드의 윈도우키 + R 을 누르면 위와 같은 실행창이 나오게 되실 거예요.
이곳에서 CALC 라고 입력을 하시고 확인 버튼 또는 엔터키를 누르시게 되면 계산기가 나오게 될겁니다. 작업표시줄의 윈도우즈 검색 에서도 이용을 할 수가 있으시겠죠.
기본적으로 100만원 짜리 물건 혹은 합계 금액에서 공급가액만 계산하는 방법 입니다. 100만원 나누기 1.1 을 하시게 되면 공급가액을 확인할 수가 있으세요.
그리고 다시 100만원에서 공급가액으로 나온 909090 원을 빼게 되면 90,910 원이 부가세가 되게 됩니다. 크게 어렵지는 않죠? 이것만으로도 네이버 부가세 계산기 없이 활용이 가능 하십니다.
그럼 공급가액만 알고 계실때 부가세 를 어떻게 계산을 하게 될까요. 위 그림은 100만원에서 1.1을 곱한 것인데요. 단순하게 보시면 부가세 포함한 총 합계 금액을 게산 한 겁니다. 그렇다면 부가세만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100만원 * 0.1 을 하게 되면 10만원이 나오게 되고 이것이 바로 부가세가 됩니다.
이런식으로 계산을 해보실 수가 있으십니다. 사업을 하시는 분들의 경우 부가세를 외에도 다양한 세금에 직면할 수가 있는데요. 이런 부분을 참고하셔서 이용을 하시길 바랄게요.
지금까지 네이버 부가세 계산기 없이 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