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에 관련된 문서를 작성 하시거나 이용하실 때에는 엑셀 프로그램이 없지 않는 한에는 엑셀을 이용을 하시게 될 겁니다. 그리고 금액 단위 부터 개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을 할 수가 있게 되실 건데요. 그 방법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엑셀 숫자 0 안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단순하게 아무것도 입력을 하지 않으면 공란으로 나오게 되는데요. 만약 숫자 0이 결과값으로 들어갔을때 보기에 좋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아예 안보이게 설정도 할 수 있어요. 그 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단 위와 같이 예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과일의 종류가 여러개가 있고 이중에서 개수를 보여주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개수가 0개인 부분이 만약에 보기 싫을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단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는 셀 서식을 사용을 하여서 해당 부분을 회계 형태로 바꿔주게 됩니다. 그럼 숫자가 0이 입력이 될때 0 대신 - 로 표시가 되게 하는 엑셀 숫자 0 안보이게 설정 하는 방법 입니다.
회계로 설정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기호에 \ 가 들어가게 때문에 이부분에 기호를 없음 으로 체크를 해주세요. 만약 금액 단위를 넣을려고 하신다면 필요할 수도 있겠습니다.
숫자 부분을 전체 드래그를 하시고 마우스 우클릭 그리고 F 를 누르시거나 세 서식으로 이동을 하시면 위 그림 처럼 나옵니다. 좌측의 표시형식의 범주에서 회계를 선택을 하시고 우측 모습처럼 선택을 한뒤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되세요.
그럼 위와 같이 개수가 0개인 배와 감 부분에서는 엑셀 숫자 0 대신 - 가 표시가 되게 됩니다. 간단하죠? 하지만 - 도 하지않고 아예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함수를 활용을 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엑셀 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엑셀 버전마다 조금씩 위치가 다르지만 아래 그림 처럼 해보시면 될거 예요.
엑셀 2010 의 경우에는 좌측 상단에 있는 파일 부분을 클릭을 해주시고 아래쪽으로 이동을 하신뒤 옵션 부분을 클릭을 해줍니다. 엑셀 2007 의 경우에는 하단에 EXCEL 옵션 이라고 되어 있을 겁니다.
그리고 고급 탭으로 이동을 한뒤 화면 아래로 쭈~~~욱 내려가 보시게 되면 이 워크시트의 표시 옵션 부분 아래에 0 값이 있는 셀에 0 표시가 있어요. 기본적으로 이부분이 체크가 되어 있는게 기본 설정입니다.
그런데 이부분을 체크 해제를 하시게 되면 엑셀 숫자 0 안보이게 설정을 하실 수가 있죠.
그럼 위와 같이 개수 부분에 숫자 0이 들어가게 되면 아무것도 없는 공란으로 표시가 될 수 있습니다. 숫자 0을 아무리 넣어도 안되는 것이죠. 그럼 엑셀 에서 숫자를 넣는 방법 들 중에 한가지로써 이용을 해보았습니다.
어렵지 않죠? 그외의 다른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을 수 있으니 다음에 다시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