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라는 이미지 포맷을 을 선호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무손실 압축 포맷이고 GIF 의 256색의 한계를 뛰어넘기 때문에 이를 선호하게 됩니다. 일반적을 JPG 파일을 PNG 형식으로 변형을 할 수가 있으신데요. 포맷형식이 다르다 보니 용량의 차이가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NG 에서 JPG로 변환을 하게 되면 화질이 떨어져 보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jpg png 변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하는데요.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 그림판과 알집으로 유명한 이스트소프트의 알씨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 에서는 그림판으 어딨는지 모르실 수 있는데요 화면 하단 작업표시줄에 있는 웹 및 윈도우즈 검색에서 그림판을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만약 보이지 않는다면 윈도우키 + R 을 눌러서 실행창을 열어주세요.
그리고 그 부분 에서 mspaint 라고 입력을 해주시면 그림판을 열어보실 수 있습니다. 그외 다른 윈도우의 경우엔 일반프로그램 또는 보조프로그램에 들어가 있을거예요.
파일 열기를 해서 jpg png 변환할 이미지 파일을 열어줍니다. 사실 jpg 파일이 아닌 다른 포맷이더라도 png 로 변환을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이미지를 열어둔 상태에서 좌측 상단에 파일을 누르시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 부분에서 오른쪽 세모화살표를 클릭을 해주세요. 그럼 PNG 그림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보일 겁니다. 고품질로 저장을 할때 써라고 하네요.
그리고 PNG 부분을 클릭을 하시게 되면 파일 이름을 설정을 하는 부분이 나오게 되는데요. 이때에도 파일 포맷을 선택을 하실 수 있고 변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까지 그림판을 활용한 JPG PNG 변환 방법 입니다. 이제는 알씨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물론 알씨 프로그래이 이미 설치가 되어 있어야 겠죠? 그런 상태에서 이미지 파일을 열어보기 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게 되면 알씨 부분이 보이실거고 해당 부분을 클릭을 하시게 되면 이미지 포맷 변환하기(F) 라는 부분이 보이실 겁니다.
이쪽으로 들어오지 않더라도 이미지 포맷 변환이 가능한데요. 알씨로 파일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포맷 변환을 진행 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오는 이미지 포뱃 변환 부분에서 변경할 파일 포맷 을 png 로 선택을 하시고 픽세당 비트 수를 24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원본 파일 자체가 jpg 이다 보니 화질이 좋아지진 않습니다. 미세하게 변화가 있을 순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화질이 좋아지게 하기 위해서 jpg png 변환 을 하는 것은 아니고 포맷 형식을 변환 함으로써 특정한 곳에 이용을 하실때 위와 같이 변환을 하시고 사요을 하시면 되실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