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언제 어떤일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를 마련을 해둡니다. 그리고 근로중에 다치게 될때를 대비해서도 사업장에서는 산업재해 근로자 보호장치를 마련해 둡니다. 


4대보험에는 산재보험료를 내게 되는데요 정확히 얼마를 내야 하는지 모를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실제 근로자들은 내지를 않게 되겠지만 이런 부분을 알아두시는 것도 좋을거 같긴 합니다.


이번시간에 산재보험 계산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나마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왠만해서는 근로복지공단에 가볼일 이 없는데 오늘은 홈페이지로 접속을 해봐야 하겠습니다. 바로 이곳에서 산재보험 과 국민연금 등 다양한 서비스의 계산 및 정보를 알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곳에서 정말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첫직장 혹은 사회진출이시라면 급여와 관련하여 궁금한게 많으실거예요. 확인을 할때 근로복지공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접속을 하셨다면 상단에 기업 납부서비스 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클릭을 해줍니다.


그리고 보험료등 알아보기 > 산재보험료 알아보기 로 이동을 하시게 되면 우리가 찾던 산재보험 계산을 진행 하실 수 있게 되세요.



각 사업장 마다 요율이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및 4대사회보험 등과는 조금 다른데요. 다른 곳은 요율이 일정 하지만 산재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산업재해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업종일 수록 요율이 더 많이 나가게 됩니다. 돈을 더 많이 내야 한다는 것이죠. 그리고 화면을 조금 아래로 내려 보시게 되면 자동 계산해 주는 계산기를 보실 수 있게 되죠.



보수 총액 을 입력을 하시고 찾기 버튼을 눌러서 자신의 사업장이 어느정도의 요율에 적용이 되는지 확인을 합니다. 그럼 업종별, 대분류, 중분류가 자동적으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우리가 신경 쓸 것은 보수총액 하나만 생각 하면 됩니다.


그리고 계산 버튼을 눌러주시게 되면 모두 마무리가 되겠죠.




일단 보험료율 찾기에서 현재 업종을 선택을 해주시면 되십니다. 저는 어떤걸 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생산 이라고만 입력을 해보앗습니다. 작물생산업을 선택을 했는데요.


아래쪽에 보시면 중분류와 소분류는 농업으로 자동 저장이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아래쪽에 계산 버튼을 눌러주시면~



산재보험 계산 완료가 됩니다. 납부 금액은 67,500원 이네요. 어쨋든 이부분은 신경 쓰실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만 그래도 아시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참고삼아 보실 수 있게 되실거 같아요.


아마 개인 보다는 사업장에서 많이 찾아보시게 되는 정보가 되실 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라며 월요병 없이 한주를 잘 이겨내시길 바랄게요!

반응형

Posted by 희망을 가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