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마트폰을 이용을 하여 카카오톡 등으로 문자를 주고 받거나 메신저를 할때 이모티콘을 많이 이용을 하시게 됩니다. 컴퓨터에서 이용을 할때에는 특수문자를 활용하여 글을 쓸 수 있는데요.


기본적인 방법은 간단합니다. 키보드 좌측에 있는 자음들 중 하나를 누르고 한자 버튼을 누르게 되면 컴퓨터 특수문자들이 나오게 됩니다. 대부분 <ㅁ + 한자키> 를 이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필요한 화살표나 하트 모양 그리고 별 부터해서 당구장 표시까지 다양한 부분을 활용을 할 수가 있게 됩니다.



위 그림은 미음(ㅁ) 과 함께 한자키를 눌렀을때 이용을 할 수 있는 특수문자의 모음들 입니다. 사용방법은 익스플로러 창이든 글을 쓸 수 있는 창이든 어느 곳에서나 자음과 함께 한자키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다양한 컴퓨터 특수문자를 활용을 하실 수가 있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ㅁ 외에는 ㄷ 을 많이 이용을 하게 됩니다. 성별 표시와 ± 표시 등을 활용하기 쉽거든요.



그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사용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활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에서 복사를 하여 다른 곳에서 붙여넣기를 한 다음에 활용을 하실 수가 있게 되는 것이죠.



한글 새 글이나 기존의 글을 불러 오시게 되면 우측 상단에 그림, 도형등이 있는데 그 우측에는 문자표가 나오게 됩니다. 아마 대부분 비슷한 경로에 있을거라고 생각이 됩니다만 일단 제가 사용하고 있는 버전은 한컴오피스 한글 2014 VP 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당구장 표시의 문자표를 찾아 들아가게 되면 문자표 입력 창이 하나 새롭게 뜨고 이곳에서 기호1, 기호2, 영어/숫자 등 다양한 문자들을 선택을 하시고 입력을 하셔서 한글을 꾸밀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들을 자신이 사용하는 블로그에도 작성을 할 수도 있고요. 간혹 인코딩 상태(?)에 따라 제대로 안나오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 특수문자 입력의 궁극(?)의 방법이 있는데요 한글 프로그램 없이도 사용가능 합니다. 윈도우 자체 기능 인데요. 실행창을 열어주세요.


실행창을 여는 방법은 윈도우 시작버튼 + R 을 눌러서 위와 같이 charmap 을 입력을 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문자표가 나오게 될거예요.



문자표 에서는 글꼴을 선택을 하시고 각종 다양한 컴퓨터 특수문자를 선택을 하고 복사를 하여 원하시는 문장등이 붙어녛기를 할 수 있어요. 그외에 또다른 방법들이 있을 수 있을거 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이 세가지 방법이면 충분할듯 합니다. 첫번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간혹 키보드에 한자키가 없거나 안먹힐때에는 마지막 방법처럼 charmap 을 활용을 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시는 방법이 가장 좋을 듯 하네요.

반응형

Posted by 희망을 가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