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집을 장만하는 것은 일생에 목표중 하나 입니다. 결혼을 하게 되면 집을 장만을 하게 되고 살아가다가 애기들이 태어나면 조금씩 넓혀 가는 재미가 있을텐데요.
사실 요즘 매년 오르는 집값을 보면 (물론 오르지 않는 곳도 간혹..) 언제 쯤 내 집을 마련할까 걱정이 되긴 합니다. 전세나 월세등의 다양한 환경이 만들어져 있는데요. 오늘은 행복주택 신청 방법과 입주조건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출근길에 주위를 보면 정말 아파트들이 많은데요. 작년 하반기에는 미분양 물건들이 나오기도 할 만큼 공급이 수요를 넘어선거 같습니다.
아마 올 연말쯤에는 집값이 조금 내려가거나 주춤 할 수 있을거 같긴 한데 젊은 대학생이나 신혼부부, 사회초년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행복 주택에 대해 알아볼게요.
먼저 말씀드린 대로 행복주택 입주조건에는 대학생이거나 신혼부부 또는 사회초년생 등의 조건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행복주택 사업에는 앞으로도 꾸준히 늘려서 2017년 까지 14만호의 행복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과연 사회에 막 발을 들인 초년생들에게는 좋은 조건이 될 수 있을거 같네요.
일단 행복주택 신청 방법 을 알아보기 전에 입주자격 조건에 충족한지 먼저 확인을 해봐야할텐데요.
행복주택 홈페이지에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이나 대학교 재학, 휴학생등, 결혼 5년 이내 직장인, 직장 생활 5년 이내의 미혼자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간단한 문항에 yes or no 를 선택함으로써 행복주택 입주자격 요건에 충족한지 아닌지를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이부분을 체크를 해보시는게 좋겠죠.
청약신청 방법은 우선 인터넷이나 현장 등에서 입주자 모집 공고가 나오게 됩니다.
2015년 6월 30일에 나왔던 공고 인데요. 신청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여 인터넷 청약을 하고 임대주택 분양, 임대청약 시스템에서 신청을 하면 됩니다.
임대대상 조건들이 나오고 공급형별로 나눠지게 되는데요 자신에게 맞는 부분을 신청을 하고 이용을 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행복주택 신청 방법은 비슷하게 진행 되는데요. 일반공급대상자의 경우 추첨의 의해 선정이 됩니다. 그리고 소득과 자산 선정이 되는데 산정방법은 위와같이 산정이 되게 됩니다.
그리고 입주자 신청시 공급일정과 신청접수 일정 등이 나오게 되는데요. 서류제출 대상자를 발표를 하고 무주택, 소득, 자산 조사 이후에 소명 요청을 하고 당첨자가 발표된 이후에 계약을 체결 한다고 하네요.
물론 임대보증금을 내야하고 월 임대료가 십여만원 이 넘김 합니다만 인근 시세에 비해 최대 70% 가량 저렴하기 때문에 이용을 하는데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겠죠.
행복주택 입주자격이 된다고 한다면 청약 신청을 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지금까지 행복주택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도움이 되는 정보 였길 바랍니다!!